경제·부동산

“요양원 근로자 접종 부진 정부 실책 탓”

오즈코리아 0 3752

앵글리케어 챔버스 대표 ‘정부 책임 전가 말라’ 반박  

16316301887087.jpg
시드니 북서부 서밋케어 버컴힐스 노인요양원

호주의 대표적 복지단체 중 하나인 성공회교단 소속의 앵글리케어 오스트레일리아(Anglicare Australia)의 케이시 챔버스(Kasy Chambers)  대표가 ‘노인요양원 근로자들(aged care workers)도 빠른 백신 접종을 원하지만 연방 정부의 실책(messy rollout)으로 더 늦어졌다. 연방 정부 부진한 백신접종에 대한 책임을 요양원 근로자들에게 전가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호주에서 백신 접종이 2월부터 시작됐지만 부진한 상태와 관련해 연방 정부의 책임론이 거론돼 왔다. 그러나 스콧 모리슨 총리와 그렉 헌트 연방 보건장관은 백신 공급은 연방 정부 관할이지만 실제 접종은 주/준주 정부의 책임이라며 비난에 반발하고 있다. 또 노인요양원과 장애인시설 등 우선 접종 대상인 일선 기관에서 소극적인 태도에도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방 정부는 2월 백신 접종을 시작하면서 노인요양원 근로자들은 접종 시작 6주 후 완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노인요양원 근로자들은 지난 주까지 40%만 1차 접종을 받은 상태다. 이처럼 문제가 개선되지 않자 정부는 “노인요양원 근로자들은 9월 17일까지 코로나 백신 1차 접종을 받지 않을 경우,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데드라인을 설정했다. 
 
정부 당초 요양원을 방문해 접종을 하도록 했지만 7월초 시드니 북서부 버컴힐스 소재 서밋케어요양원(SummitCare’s Baulkham Hills aged care home) 코로나 발병을 계기로 이 정책을 중단했다. 당시 요양원 근로자는 3분의 2가 미접종 상태인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던졌다. 
 
한 예로 NSW와 ACT에서 28개 요양원을 운영하는 알에스엘 라이프케어(RSL LifeCare)는 “근로자의 27%가 1차 접종받았고 2차 접종 완료는 15%”라고 밝혔다. 
 
챔버스 대표는 “요양원을 방문하는 벡신 접종팀 요원의 부족이  최대 장애다. 정부의 혼선으로 문제 더 악화됐다. 접종률이 부진한 것은 정부의 잘못이지 요양원 근로자들 때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근로자들에게 직장 근처에서 화이저 백신 접종을 권유하면서 “용이하게 접종을 받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직순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Comments
포토 제목
게시물이 없습니다.
+

새글알림

Cleaner Casual - Tasmania
오즈코리아 05.30 12:50
Domestic Assistants / Cleaners
오즈코리아 05.30 12:50
Ecommerce Specialist
오즈코리아 05.30 11:50
International Guest Services Officer
오즈코리아 05.30 08:50
Graffiti Removal Operator
오즈코리아 05.30 06:50
+

댓글알림

Cleaner Casual - Tasmania
오즈코리아 05.30 12:50
Domestic Assistants / Cleaners
오즈코리아 05.30 12:50
Ecommerce Specialist
오즈코리아 05.30 11:50
International Guest Services Officer
오즈코리아 05.30 08:50
Graffiti Removal Operator
오즈코리아 05.30 06:50

공유해주세요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