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지역구, 시드니 '높이 제한 완화' 구역 재조정 후보 대상 제외
재조정 대상서 자기 지역구 제외 하려는 여당 의원들

시드니 잠재적 주택 밀도 “톱 10” 지역 목록이 비밀리에 관료들과 정치인들 사이를 오가며, 뉴사우스웨일스(NSW) 주정부 주택 목표 달성의 부담을 어느 교외가 짊어질지에 대한 고심이 이어지고 있다.
ABC뉴스는 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메트로 역 주변의 최대 10개 부지가 현재 높이 제한을 완화하여 더 높은 고층 아파트를 지을수 있도록 지역 계획 규칙을 변경하는 주정부 '우선 구역 재조정' 후보 목록에 있다고 보도했다.
정확한 위치에 있는 철저하게 비밀로 유지되고 또한 계속 바뀌고 있지만, 몇몇 메트로 역들이 이 후보군으로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지역은 CBD에서 12km 이내에 있으며 이전에 NSW 기획부가 구역 재조정이 적합하다고 확인했던 곳이다.
그러나 메트로 시티 및 사우스웨스트 노선(Metro City and Southwest line)에 있는 매릭빌(Marrickville)에서 캔터베리(Canterbury)에 이르는 메트로 역 예정지 주변 거리는 현재 우선 순위 용도 지역 상향 조정의 주요 대상에서 빠져있다.
해당 지역은 모두 노동당이 의석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동당이 장악한 카운슬과 잘 조직된 주민 그룹들이 있다.
매릭빌과 덜위치 힐(Dulwich Hill)은 NSW 교통장관 조 헤일렌(Jo Haylen)의 선거구에, 캔터베리는 NSW 노사관계장관 소피 코치스(Sophie Cotsis)의 선거구에 위치해 있있다. 앤소니 알바니지 총리의 연방 선거구인 그레인들러(Grayndler)는 세 교외 지역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NSW 기획부의 이전 전략 초안은 매릭빌과 캔터베리 메트로 역 주변의 구역을 재조정하여 역에서 400m 이내에 최대 8층의 고층 및 중층 건물과 덜위치 힐에 최대 7층의 중층 아파트 건물을 허용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2016년 메트로 시티 및 사우스웨스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수십억 달러의 공공 투자를 뒷받침하는 비즈니스 사례의 일부를 형성했었다.
당시 코치스 의원은 이 계획을 "지역 사회에서 부적절한 수준의 주거 개발을 강제로 떠맡기는 진정한 의제"가 숨겨져 있는 트로이 목마로 분류했었다.
헤일렌 의원은 이전에 "이너 웨스트 캔터베리(Inner West Canterbury) 지역은 우리의 공정한 개발 몫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수용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역 연방 하원의원이었던 알바니지 총리는 제안된 고층 건물이 "지역 공동체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특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었다.
이 전략은 2018년에 폐기되기 전에 이너 웨스트 카운슬과 지역 주민들로부터 심하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개발업자 로비 단체인 어반 태스크포스(Urban Taskforce)의 톰 포레스트(Tom Forrest) 대표는 이 지역들, 특히 매릭빌을 조사해야 한다는 "확실한 견해"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노동당 지역구라고 해서 부족하게 다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그는 말했다.
NSW 야당의 주택 담당 의원인 스콧 파로우(Scott Farlow)는 지난 3월 노동당의 선거 승리 이후 시드니의 4군데 구역 재조정 지역 중 3군데가 자유당이 의석을 차지한 시드니 북부 지역에 있었다면서 재조정 지역 선정 방식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30년 넘게 주택을 연구해 온 피터 핍스(Peter Phibbs) 명예교수는 정부가 '용도 지역 높이 상향 조정' 대상을 선정할 때 야당의 의석에 더 집중하는 것은 '일반적인 전략'이라고 말했다.
핍스 교수는 "이건 스캔들이며, 이런 식이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면서도 "하지만 정치는 도시 계획 결정의 일부”라고 말했다.
또한 핍스 교수는 시드니가 성장함에 따라 결국 모든 메트로 역이 상당한 고층 건물로 둘러싸일 것이며 "정치 과정이 하는 일은 그 순서를 바꾸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트로 역에서의 우선 재조정은 다음 달 NSW 주정부가 발표할 주택 개혁 조치 중 일부를 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야당은 12월 첫 주에 계획에 대해 브리핑을 받을 예정이다.
한편, NSW 주정부는 5년 동안 매년 75,000채의 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며, 이는 전국 주택 협정에 따른 연방정부의 새로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김현산 기자([email protected])
[출처 : 한호일보-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