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동산

'제각각' 주정부 지원금.. 기업들 '혼란'

오즈코리아 0 3751
16316306467082.jpg

록다운을 시행한 주정부는 이 봉쇄 조치에 영향을 받은 기업을 돕기 위한 지원책을 신속하게 내놓고 있다. 하지만 주정부마다 지원금의 요건과 규정이 제각각이라, 기업들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호주 비즈니스 전문 매체 스마트컴퍼니(SmartCompany)는 “각 주정부가 사업체들을 록다운과 같은 불확실성으로 밀어넣으려면, 경영주들이 예산, 운영, 인원 등의 계획을 준비할 수 있도록 더 명확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NSW는 록다운 첫 3주에 대하여 기업의 현금 흐름을 확보해주기 위해 사업 지원금 명목으로 7,500달러에서 1만 5,000달러의 일회성 지원금을 지급한다.

주당 급여명부 지급액(weekly payroll)의 40%를 최대 10만 달러까지 지원하는 '잡세이버 현금흐름 지원금'(JobSaver cashflow payments)은 보다 실질적인 지원책이다. 연매출이 7만 5,000달러에서 2억 5,000만 달러 사이인 기업이 신청할 수 있다.

빅토리아주는 5월과 6월에 실시한 록다운에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하여 주의 사업비 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최대 7,000달러를 일회성으로 지급한다.

체육관, 카페, 식당 등 24개 분야의 사업체에 5,000달러를 주는 사업 연속성 기금, 허가된 숙박∙요식업체에 2만 달러를 지원하는 기금, 70% 이상의 매출 감소를 겪은 중소기업에 5,000달러를 지급하는 기금도 있다.

퀸즐랜드주는 5,000달러, 남호주와 서호주는 3,000달러를 주는 지원 방안을 두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은 각 주의 상이한 시스템 하에서 자격 조건과 액수가 서로 다른 지원금을 따내려고 애쓰고 있다.

경영주들이 어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지, 중복적이거나 상호배타적인 프로그램의 자격 기준을 과연 충족하는지 확신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NSW 잡세이버의 경우, 신청 절차가 분명하지 않아서 경영주들이 어떤 사항이 요구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주정부 간의 시스템 단절도 문제다. 주정부는 급여 등의 한정된 재무 자료만 다룰 수 있어서 수익, 사업모델, 보고 시기 등 수집 정보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스마트컴퍼니는 주정부가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조정을 하고 있지만, 기업을 위해서는 명확하고 일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기업에는 가능한 모든 지원금을 신청하고, 현금 흐름과 연속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용규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Comments
포토 제목
+

새글알림

General Manager - VIC
오즈코리아 02:50
Replenisher
오즈코리아 02:50
Shift Workers
오즈코리아 02:00
Administrator
오즈코리아 02:00
+

댓글알림

General Manager - VIC
오즈코리아 02:50
Replenisher
오즈코리아 02:50
Shift Workers
오즈코리아 02:00
Administrator
오즈코리아 02:00

공유해주세요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