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동산

호주인권위 "백신 여권, 차별 위험성 있다” 우려

오즈코리아 0 3935

모리슨 총리 "접종률 높아지면 필요성 사라질 것" 예상 

16316307015173.jpg
백신여권에 대해 우려를 나타낸 호주인권위 웹사이트

호주인권위원회(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는 “정부가 방역 규제를 풀지 않은 채로 백신 여권/통행증(vaccine passport)을 발급하면 취약층을 차별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인권위는 “호주 정부가 백신 여권을 입법화하려면 이 여권은 반드시 합리적, 필수적, 비례적이어야 하며 차별의 가능성도 고려돼야 한다”고  권고했다.
 
백신 여권 모델이 자칫 이동 및 결사의 자유를 제약하고 일상적 상품과 서비스의 접근을 막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인 셈이다.
 
인권위에 따르면, 의학적인 이유로 백신을 접종하지 못하는 사람, 백신을 맞았지만 정부와 제3자에 건강정보를 공유하기를 꺼리는 사람, 신념이나 정치적 견해로 백신 접종을 거부한 사람 등이 차별을 당할 수 있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0% 이상의 호주인이 절대 백신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장애인 또는 일부 노인처럼 스마트폰, 프린터 등의 기기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회계층, 일부 이민자 등 정부 기관과의 접촉을 피하려는 소외 집단도 마찬가지다.

 
인권위는 "호주의 모든 사람이 백신 접종을 할 수 있을 때까지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그 어떤 백신 통행증 모델도 불공평할 것"이라며 "우선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통행증은 기존의 규제를 완화하고 공중보건 성과를 개선하는 보조 도구로 활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서호주는 13일 '고위험', '극위험'으로 분류된 지역에서 올 방문객은 최소 1회의 백신을 접종했다는 사실과 3일 이내에 받은 PCR 검사(항원•항체검사)와 건강상태확인서(음성확인서)를 증명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스콧 모리슨 총리는 서호주의 움직임을 환영했다. 그는 앞서 발표한 4단계 코로나-19 대응 계획에 따라 백신 접종을 장려하기 위한 국내 백신 증명서를 주정부가 사용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뒀었다.

다만 "(서호주의) 결정은 현재를 위한 것"이라며 "향후에 백신접종률이 70%, 80%에 도달하면 궁극적으로 이러한 방식들은 안녕을 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인은 연방 정부의 마이고브(myGov) 사이트를 통해 스마트폰에 있는 디지털 지갑에 백신 접종 증명서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용규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Comments
포토 제목
+

새글알림

General Manager - VIC
오즈코리아 02:50
Replenisher
오즈코리아 02:50
Shift Workers
오즈코리아 02:00
Administrator
오즈코리아 02:00
+

댓글알림

General Manager - VIC
오즈코리아 02:50
Replenisher
오즈코리아 02:50
Shift Workers
오즈코리아 02:00
Administrator
오즈코리아 02:00

공유해주세요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